이 책의 강점은 신체계통별 해부생리와 기능과 질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계하여 설명하였고, 또한 각 질환에 따른 현재 의료분야에서 적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최신치료방법을 최대한 반영하여 제시함으로써 이론학습과 임상실습에서의 학습이 원활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국가고시가 간호과정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역량을 평가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장에 국가고시에서 다루는 주요 질환을 학습목표와 함께 제시하였고, 간호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였다.
UNIT 1 총론
01. 감염
02. 면역
03. 수분과 전해질, 산-염기 불균형
04. 쇼크
05. 응급간호
06. 수술간호
07. 통증
08. 종양간호
09. 호스피스완화간호
UNIT 2 소화기계 장애
10. 위장관계 사정
11. 위장관계 장애 대상자 관리
12. 간·담도계 사정
13. 간 질환 대상자 관리
14. 담도·췌장질환 대상자 관리
UNIT 3 심혈관계 장애
15. 심장계 사정
16.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17. 혈관계 사정
18. 고혈압 대상자 관리
19. 혈관장애 대상자 관리
UNIT 4 혈액계 장애
20. 혈액계 사정
21. 혈액질환 대상자 관리
UNIT 5 호흡기계 장애
22. 호흡기계 사정
23. 호흡기계 중재적 처치와 간호
24. 상기도질환 대상자 관리
25. 하기도질환 대상자 관리
26. 폐혈관·폐실질질환 대상자 관리
27. 급성호흡기질환 대상자 관리
UNIT 6 배뇨생식기계 장애
28. 비뇨생식기계 사정
29. 배뇨장애 대상자 관리
30. 감염·염증성질환 대상자 관리
31. 폐색성질환 대상자 관리
32. 신부전 대상자 관리
33. 남성생식장애 대상자 관리
34. 유방장애 대상자 관리
UNIT 7 근골격계 장애
35. 근골격계 사정
36. 근골격계 중재적 처치와 간호
37.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관리
38 근골격계 외상·과다 사용 대상자 관리
UNIT 8 신경계 장애
39. 신경계 사정
40. 신경계 일반적 건강문제 관리
41. 뇌졸중 대상자 관리
42. 말초신경계 장애 대상자 관리
43. 신경계 외상 대상자 관리
44. 발작장애 대상자 관리
45. 퇴행성 신경질환 대상자 관리
46. 신경계 감염 및 종양 대상자 관리
UNIT 9 내분비계 장애
47. 내분비계 사정
48. 내분비계 장애 대상자 관리
UNIT 10 감각기계 장애
49. 시각장애
50. 청각장애
51. 피부장애 및 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