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는 인지적인 저하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신체적인 저하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후 일상생활을 어렵게 할 정도로 신체적·정신적 부분 모두에서 케어가 필요한 질환이다. 작업치료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최대한 독립적으로 유지하고 지켜나갈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신체적·정신적 활동을 병행함으로써 인간의 가치를 일깨워 줄 수 있다. 치매의 작업치료 접근을 통해 보건, 병원,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다함으로써 개인의 생활, 가정, 사회 더 나아가 국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인간으로서의 삶을 유지해 나아가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UNIT 01 치매의 이해
CHAPTER 01 인구구조의 변화와 고령화의 추세
CHAPTER 02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
UNIT 02 치매의 지식
CHAPTER 03 치매의 역사
CHAPTER 04 치매의 신경병리와 최신 신경과학의 동향
CHAPTER 05 치매의 분류
CHAPTER 06 치매의 약물치료
CHAPTER 07 치매의 비약물치료
CHAPTER 08 치매의 진단 및 평가
UNIT 03 치매작업치료의 실제
CHAPTER 09 인지관리
CHAPTER 10 일상생활활동
CHAPTER 11 정신행동증상 관리
CHAPTER 12 운동관리
UNIT 04 사회적 제도 및 지원
CHAPTER 13 법과 제도
CHAPTER 14 의료기관 치매지원
CHAPTER 15 지역사회 치매지원
CHAPTER 16 커뮤니티 케어 치매지원
CHAPTER 17 노인장기요양제도 치매지원
UNIT 05 외국 제도 및 현황
CHAPTER 18 외국의 사례
UNIT 06 치매작업치료의 전망
CHAPTER 19 치매작업치료 전망